main-logo

공수산정 스터디에서 얻은 인사이트

공수산정 시 IA와 디자인 시안이 없을 때 어떻게 해야 하나요 ?

profile
nagaeso
2025년 11월 24일 · 0 분 소요

들어가며


최근 그룹 내 공수산정 스터디에 참여하면서, 공수 산정에 대한 다양한 관점과 실제 적용 방식을 정리할 기회가 되었습니다.
특히 “자료가 충분하지 않은 상황에서도 어떻게 이해할 수 있는 공수를 산정할 수 있을까”에 대해 많은 인사이트를 얻어 회고 형태로 정리해보았습니다.

 

IA가 없을 때는 ‘유형 패턴’으로 페이지 볼륨 예측하기


공수 산정 단계에서는 IA가 준비되지 않는 것이 대부분입니다. 따라서 사이트 유형별로 반복되는 패턴을 파악하여 페이지 수를 추정해야 합니다.

서비스형 웹사이트 (SaaS·플랫폼 등)

  • 메인 1p + 2Depth 메뉴 약 5 ~ 8개 +α(하위 메뉴 및 파생 페이지)p

프로모션/캠페인 페이지

  • 메인 1p + 참여/결과/이벤트 안내 등 2~4p

관리자(Admin) 화면

  • 리스트 / 상세 / 등록·수정처럼 반복되는 CRUD 패턴 중심

  • 테이블 기반 리스트 수에 따라 전체 구조가 일정하게 나오기 때문에 예측 가능

관제센터(모니터링 시스템)처럼 구조가 특이한 경우

  • 실시간 대시보드 1p + 상세 모니터링 화면 + 로그/이력 조회 등

  • 특수한 구조이지만, 공통으로 존재하는 “대시보드 + 상세 패널 + 로그 화면” 패턴으로 기본 볼륨 산정 가능

이처럼 서비스 유형이 다르더라도 유형별로 반복되는 구조가 존재하기 때문에, IA가 없어도 전체 볼륨을 크게 벗어나지 않는 선에서 예측할 수 있습니다.  또한 단순 페이지 수뿐만 아니라

  • 공통 레이아웃 사용 여부
  • 재사용할 수 있는 컴포넌트 비율

등 재사용 가능 여부 고려해야 공수에 신뢰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디자인 시안이 없고 레퍼런스 자료도 제한적일 때 구현 범위 읽기


디자인 파트의 자료 조사가 마치지 않은 상태에서는 최소한의 정보와 경험을 기반으로 구현 범위를 추론해야 합니다.

체크 포인트

  • 섹션 구성 및 반복되는 컴포넌트

  • 기본 인터랙션 패턴 (탭, 슬라이드, 모달 등)

  • 반응형 레이아웃 예상

  • 공통 영역 복잡도 (GNB, 푸터, 공통 UI 컴포넌트)

공통 요소는 한 번 만들면 전체 페이지에서 반복 사용되므로, 초기 산정에서 반드시 고려해야 합니다.

기능 단위 예시

  • 메인 페이지: 배너/슬라이드, 섹션 전환 애니메이션, 기능 소개 카드, 퀵링크/CTA 버튼, 추천 콘텐츠/뉴스 리스트

  • 리스트 페이지: 테이블 또는 카드형 리스트, 필터/정렬, 무한 스크롤 또는 페이지네이션, 체크박스/선택 기능, 검색 바

  • 상세 페이지: 콘텐츠 상세 영역(텍스트/이미지/영상), 관련 콘텐츠 추천, 댓글/리뷰 입력, 탭형 정보 분류, 모달 팝업

  • 공통 영역: GNB(다단 드롭다운, 스크롤 연동), 푸터(뉴스레터, 사이트맵), 공통 버튼/아이콘/모달, 알림/Toast, 로그인/회원 모듈

  • 관리자(Admin) 페이지: 리스트/CRUD, 필터/정렬/검색, 대시보드 차트/통계, 엑셀 내보내기/업로드, 권한별 화면 제어

  • 관제센터/모니터링 페이지: 실시간 데이터 차트/그래프, 상태 패널, 로그/이력 조회, 알람/경고, 실시간 필터/검색

초기 단계에서는 반복·공통 패턴 중심으로 기능 단위를 추론하고, 디자인 자료가 구체화되면 세부적으로 공수를 조정해야 합니다.

 

페이지 난이도에 따라 가중치를 두어 공수 조정하기


페이지를 동일 기준으로 계산하는 대신, 난이도에 따라 가중치를 적용하면 전체 일정이 더 현실적이고 균형 있게 산정됩니다.

 
난이도 설명
단순 정적 페이지 정적 콘텐츠 중심
중간 수준 인터랙션 탭, 슬라이드 등 기본 모션
고난이도 모션·애니메이션 복잡한 애니메이션·JS 제어

난이도에 따라 퍼버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퍼버는 단순히 수치로 명시하기보다, 관련 리스크에 포함시켜 근거와 이유를 함께 제시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어야 설득력을 높일 수 있습니다.

 

커뮤니케이션 단계: 공수 변동 가능성 공유하기


공수 산정은 프로젝트 초기 단계에서 완전히 확정되는 것이 아니라, 진행 과정에서 변동될 수 있는 잠재 가능성을 염두에 두어야 하는 작업입니다.
고객사와 소통할 때는, 단순히 일정만 전달하기보다는 변경 가능성과 그 근거를 명확히 설명해야 합니다.

  • 공수는 고정 숫자가 아닌 설계 과정이라는 점을 인지시키기

  • 변경 발생 시 근거를 중심으로 설명

  • 고객사와 예상 변동 범위와 이유를 공유하여 이해와 신뢰 확보

협의 여지를 남겨두면, 리스트에 대해 대비를 할 수 있고, 전체 일정과 기능 범위에서 불확실성을 줄이며 리스트 범위를 합리적으로 조정할 수 있습니다.

 

마무리


이번 그룹 공수 산정 스터디를 통해, 공수 산정이 단순히 견적과 비용을 논의하는 단계가 아니라 프로젝트를 설계하고 관계자와 소통하며, 보다 효율적이고 이익이 나는 방향으로 계획하기 위한 과정이라는 점을 알게 되었습니다. 앞으로 작업 시간이 감이 잡히지 않거나 확신이 서지 않을 때, 이번 스터디에서 배운 방법들을 활용해 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