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어가며
Cursor IDE를 주로 사용하며 개발을 해오던 중, 갑작스러운 요금 체계 변경으로 제한에 너무 빠르게 도달하게 됨에 따라 다른 AI 도구를 업무에 활용해보자 싶어 Claude Code를 선택하였습니다.
그렇게 사용하게 된 Claude Code와 일주일정도의 사용 후기를 공유합니다.
Claude Code의 소개
Claude Code는 Anthropic에서 개발한 AI 기반 코딩 도구로, 개발자가 터미널에서 자연어 명령을 통해 코드를 작성, 수정, 디버깅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Claude Code는 코드베이스를 이해하고, 코드의 기능을 설명하며, Git 작업 자동화, 테스트 작성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Claude Code 설치 및 설정
필수 조건 확인
- Node.js 및 npm 설치
npm install -g @anthropic-ai/claude-code
Claude Code 인증
터미널에서 claude 실행 후 OAuth 인증 과정을 완료합니다.
Claude Code 사용
/add-dir |
추가 작업 디렉토리 추가 |
/agents |
전문 작업을 위한 사용자 정의 AI 하위 에이전트 관리 |
/bug |
버그 신고 (대화를 Anthropic에 전송) |
/clear |
대화 기록 지우기 |
/compact [instructions] |
선택적 집중 지침과 함께 대화 압축 |
/config |
구성 보기/수정 |
/cost |
토큰 사용량 통계 표시 |
/doctor |
Claude Code 설치 상태 확인 |
/help |
사용법 도움말 보기 |
/init |
CLAUDE.md 가이드로 프로젝트 초기화 |
/login |
Anthropic 계정 전환 |
/logout |
Anthropic 계정에서 로그아웃 |
/mcp |
MCP 서버 연결 및 OAuth 인증 관리 |
/memory |
CLAUDE.md 메모리 파일 편집 |
/model |
AI 모델 선택 또는 변경 |
/permissions |
권한 보기 또는 업데이트 |
/pr_comments |
풀 리퀘스트 댓글 보기 |
/review |
코드 리뷰 요청 |
/status |
계정 및 시스템 상태 보기 |
/terminal-setup |
줄바꿈을 위한 Shift + Enter 키 바인딩 설치(iTerms2 및 VSCode만 해당) |
/vim |
삽입 모드와 명령 모드를 번갈아 사용하는 vim 모드 진입 |
이미 진행중인 프로젝트에 참여하게 될때 /init 과 같은 명령어를 입력하면 .cursor 폴더에 있는 규칙들과 프로젝트 전반적인 코드베이스를 분석하고 프로젝트 폴더에 CLAUDE.md 파일을 생성하여 claude code가 참조할 문서를 만듭니다.
Claude Code에 대화로 요청을 할때 이미 프로젝트에 대해 분석이 된 상태여서 빠르게 적응을 도와줍니다.
아직 뉴비라서.. 처음 설치할때 말곤 별다른 명령어를 활용하지는 않게 되더라고요.
그리고 커서의 AI 채팅을 사용할때와 다른 점은 퍼소나를 주입할 수 있어요. (이 부분은 뒤에 이어서..)
단점 및 한계
똘똘하긴 하지만 어떤 AI를 사용하던 완벽하진 않아요.
시키지도 않은 짓을 하거나, 기존의 코드를 없애기도 해요. 잘 지켜보아야 합니다.
좀 번거롭긴 한데 파일을 수정하거나 생성할때 계속 물어봅니다. 이번 세션에서 같은 형태의 요청은 자동으로 수락하게 할 수도 있어서 이 부분은 큰 단점은 아니라고 생각해요.
그리고 커서 IDE에 익숙해진 탓인지 코드의 변경점을 알아보기가 쉽지 않아요. 터미널에서 보는건 눈에 잘 안들어오고..
마지막으로, 요청을 하다보면 금새 제한에 도달합니다. ㅜㅜ
Claude Code에 날개를 달아줄 Super Claude Framework
Super Claude는 Claude Code의 기능을 확장하는 프레임워크입니다.
특화된 명령어, 인지 퍼소나, 개발 방법론을 추가하여 Claude Code를 강화합니다.
https://github.com/SuperClaude-Org/SuperClaude_Framework
Super Claude 설치 및 설정
사전 요구사항
- Python 3.7+ 설치
- Claude Code 설치
설치
pip install SuperClaude
// 또는
git clone https://github.com/SuperClaude-Org/SuperClaude_Framework.git
cd SuperClaude_Framework
pip install .
Super Claude 사용
Development
/sc:implement |
새로운 기능을 구현하거나 코드를 작성할 때 사용 |
/sc:build |
프로젝트를 컴파일하거나 패키징할 때 사용 |
/sc:design |
시스템 구조, UI, 또는 기능 설계 |
Analysis
/sc:analyze |
코드, 세스템, 또는 문제 상황을 분석해 원인이나 개선점 발견 |
/sc:troubleshoot |
버그나 오류를 진단하고 해결방안을 제시 |
/sc:explain |
코드, 개념, 또는 동작 원리를 쉽게 설명 |
Quality
/sc:improve |
코드 품질을 높이거나 리팩토링을 제안 |
/sc:test |
테스트 케이스를 생성하거나 테스트 실행을 지원 |
/sc:cleanup |
불필요한 코드, 주석, 파일 등을 정리 |
Others
/sc:document |
문서화 작업(코드, API, 사용법 등) |
/sc:git |
Git 관련 작업(커밋, 브랜치, 머지 등) |
/sc:estimate |
작업 시간이나 리소스 소요를 예측 |
/sc:task |
할 일 관리 및 진행 상황을 추적 |
/sc:index |
프로젝트 파일이나 문서의 인덱스를 생성 |
/sc:load |
외부 데이터나 설정을 불러옴 |
/sc:spawn |
새로운 작업, 프로세스, 또는 인스턴스를 생성 |
아직 많이 사용은 해보지 않았지만 저는 기본적으로 Claude Code로 개발을 하다가 조금씩 삽질을 시작하거나 헤메기 시작할때 Super Claude를 사용하게 되더라고요.
적당한(?) 명령어 뒤에 메세지를 입력하면 Claude Code만 사용할때보다 좀 더 깊은 생각을 하더라고요.
주요 퍼소나 소개
- architect : 시스템 설계, 아키텍처, 구조적 의사결정에 특화된 전문가
- frontend : UX/UI, 웹 디자인, 접근성 등 프론트엔드 개발에 집중
- backend : 서버, API, 데이터베이스 등 백엔드 인프라와 관련된 부분에 집중
- analyzer : 코드 분석, 디버깅, 문제 진단에 능숙한 전문가
- security : 보안 취약점, 위협 분석, 안전한 코드 작성에 집중
- scribe : 문서화, 기술 글쓰기, API 문서 작성 등 글쓰기 작업을 담당
마찬가지로 Claude Code로 개발을 하다가 헤메기 시작할 때, 퍼소나를 주입하고 MCP를 함께 이용하면서 개발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느낌적인 느낌으로 토큰 소모를 더 많이 해서 제한에 빨리 도달하는 기분이에요.
Super Claude MCP 서버 통합
SuperClaude는 외부 도구와의 연동을 통해 기능을 확장할 수 있습니다. 주요 MCP 서버는 다음과 같습니다:
- Context7: 공식 라이브러리 문서 및 패턴 검색
- Sequential: 복잡한 다단계 사고 지원
- Magic: 현대적인 UI 컴포넌트 생성
- Playwright: 브라우저 자동화 및 테스트
커서에서 다양한 MCP들을 설치해서 사용하고 있었지만 MCP가 자꾸 다운되어 사용할때마다 확인하게 되는 번거로움이 있었는데 Super Claude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4가지의 MCP 중 주로 사용하던 것이 3개가 포함되어있어 편리했어요.
다른 MCP를 더 추가해서 사용할때엔 Claude Code에서 추가하면 되요.
마치며
터미널 기반의 Claude Code를 처음 사용할때엔 낮설어서 불편했는데 익숙해지고 있는 중입니다.
왜 터미널 기반으로 제공할까? 라는 생각을 해봤는데, 어떤 IDE를 사용하던 같은 경험을 이어갈 수 있는 부분에서 터미널 기반에서의 UX가 강점이겠구나. 싶더라고요. (하지만 커서의 UX가 너무나 훌륭..)
Claude Code의 사용에 더 익숙해지고 활용이 다양해지면 또 공유해볼께요.
감사합니다.